전체 글33 앞으로 5년, 어떤 직업이 뜰까? WEF ‘미래 일자리 2025’ 요약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한 명의 경제 참여자로서, 앞으로의 일자리와 관련해서 어떤 일들이 벌어질지 늘 궁금하고 걱정도 되는데요. 미래에 마주할 경제적 상황과 일자리 문제에 대한 힌트를 얻고 조금이나마 준비를 하는 것은 좋은 생각이라고 생각합니다.‘어떤 일자리가 사라지고, 어떤 일자리가 새로 생길까?’ ‘내가 준비해야 할 역량은 뭘까?’ 그런 고민 끝에 세계경제포럼(WEF)이 2025년 1월 발표한 ‘미래 일자리 보고서’를 직접 읽어봤습니다. 이 글은 전문적인 분석보다는, 제가 읽으며 중요하다고 느꼈던 내용이나 다시 되새기고 싶은 부분들을 정리해 놓은 일종의 개인 노트입니다. 미래를 함께 준비하는 분들에게도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시작해 봅니다. 거시 경제 트렌드인공지능(AI)과 정보 처리 기술인공지능.. 2025. 4. 16. 너도 혹시, 위로하는 게 어렵니? 살다보면 누구나 위로를 건넬 순간이 오잖아. 맞아요, 정말 그렇습니다.살다 보면 누군가의 울음을 듣게 되는 순간,혹은 무언가 무너져 내린 마음을 곁에서 마주하는 순간이 찾아옵니다. 그건 가까운 친구일 수도 있고, 가족일 수도 있고,혹은 SNS에 우연히 마주친 누군가의 짧은 글일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 우리 마음엔 '뭔가 말해주고 싶다'는 따뜻한 감정이 먼저 올라오는데,막상 입 밖으로 꺼내려면 그 따뜻한 마음을 담을 말이 잘 안 떠오를 때가 많습니다. 너무 평범할까 봐, 너무 가벼울까봐, 혹은 너무 무거울까 봐. 그래서 이 글은, 마음은 있는데 말이 어려운 당신을 위한작은 연습장이 되었으면 합니다. 말보다 중요한 마음우리는 종종 이렇게 생각합니다. "뭐라고 해야 상대가 위로받을까?""내가 괜히 .. 2025. 4. 7. 절망은 끝나지 않을 것 같지만, 모든 것은 변한다. "우리는 매일 똑같은 하루를 사는 것 같지만, 단 하루도 같은 날은 없다."— 에크하르트 톨레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저자)삶은 변합니다. 설령 지금 이 순간이 아무리 절망스럽고, 아무리 끝이 없어 보인다 해도, 시간은 흐르고 상황은 변하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자살을 고민하는 많은 사람들은 지금의 감정과 현실이 영원히 지속될 것 같다는 생각에 갇혀 있습니다.모든 것이 끝나지 않을 것 같은 기분, 벗어날 길이 보이지 않는 터널 같은 순간. 이런 감정에 빠지면 우리는 마치 깊은 물속에서 숨을 쉬지 못하는 듯한 고통을 느낍니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 것은 감정도, 상황도, 우리의 삶도 변한다는 사실입니다.1. 지금의 감정을 인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절망의 순간에 가장 위험한 것은 "나는 끝났다"고 .. 2025. 3. 11. 자살률 1위 한국: 2000년대 연예인 자살(2000년~2025년 2월) 한국에서 살다 보면, 연예인 등 유명인들의 자살 소식을 종종 접하게 됩니다.처음에는 '정말일까?' '혹시 가짜 뉴스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스치지만, 곧 높은 확률로 전 국민이 알던 그 스타 연예인이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는 것이 사실임을 알게 됩니다. 사실 대한민국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36개국 중 자살률 1위라는 것은 새삼스러운 뉴스가 아닙니다.이러한 대한민국의 현실 속에서 유명인의 잇따른 자살 소식도 어찌 보면 놀랍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통계청 발표자료 '2023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23년 하루 평균 대한민국 자살사망자 수는 38.3명입니다.(+8.3% vs. 2022년)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표준인구 10만 명당 38.3명을 기록, 여성은 16.5명으로 나타났.. 2025. 3. 4. 이전 1 2 3 4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