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3

대한민국 X세대는 어디에 있나? 최초의 알파벳 세대인, 대한민국의 X세대를 다시 주목해야 합니다.  X세대?X세대는 1970~79년에 태어나 70~80년대의 국내의 사회적, 경제적 변화 속에서 성장하면서당시 기성세대와는 다른 가치관과 정체성을 가진 젊은 세대를 말합니다.'X'라는 이름은 이 세대를 기존의 틀로 정의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붙여졌습니다. 당시 트렌드를 주도하고, 한국에서 최초의 'X'라는 영어 알파벳으로 이름 지어진 X세대는지금은 중년의 나이로 우리 사회에서 든든한 부모이자 자식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기업 조직에서는 리더로서 또는 은퇴 후 또 다른 삶을 살아가기 위해 창업을 고민하고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왜 X세대를 주목해야 하는가?!X세대는 대한민국에서 인구 비중이 높고, 대한민국의 중추적인 위치에 있으면서위로는 베.. 2025. 1. 3.
2025년 마케팅 트렌드: 토핑경제 마지막 토핑은 나, 소비자가 직접 선택한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마케팅 트렌드로 주목하는 '토핑경제'라는 흥미로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몇 년 전부터 유행하는 마라탕부터, 최근의 요아정, 키링의 유행까지, 이 모든 현상의 공통 요소가 바로'소비자들이 자신의 취향에 맞게 최종 형태를 커스터마이징, 토핑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최근 배달앱을 통해서 음식을 주문하려고 보면, 고객들이 여러 옵션을 추가할 수 있는 부분이 많이 늘었다는 것을 실재로 느낄 수 있습니다. 토핑경제: 소비자 맞춤화 시대의 새로운 경제 트렌드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습니다.)">">">  초개인화 시대의 트렌드오늘날 소비 시장의 중심에는 더 이상 제품 그 자체가 아닌, .. 2024. 12. 24.
유투브 PPL: 광고유형, 비용, 최적화 전략 유튜브 채널과 PPL: 기회와 도전유튜브는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콘텐츠 플랫폼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10월 기준 유튜브 사용 시간(1천44억 분)은 카카오톡(319억 분)의 3.3 배, 네이버(222억 분)의 4.7 배 수준입니다. 그래서 수많은 기업이 유튜브 채널과의 협업을 통해 PPL(프로덕트 플레이스먼트)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노출과 매출 향상을 동시에 목표로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성공적인 PPL 실행은 어려운 현실입니다. 본 글에서는 유튜브 채널과 제휴하는 PPL의 기회와 도전, 그리고 이를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1. PPL의 정의와 중요성 PPL은 콘텐츠 안에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통합하여 소비자에게 노출시키는 마케팅 기법입.. 2024. 12. 23.
아마존 "이제는 재택 근무 없어..", 직원 73% 이직 고려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IT 기업들은 재택 근무를 적극 도입했습니다.분명히 코로나19의 높은 전염성이 큰 동기가 되었지만, 함께 유연한 근무 환경과 사무실로의 출퇴근에서 오는 비효율을 개선하는 흐름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많은 기업들이 다시 사무실 복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아마존의 CEO는 인터뷰에서 사무실 근무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아마존은 2025년부터 모든 직원이 주 5일 사무실 출근을 해야 한다고 발표한 것인데요. 이는 팬데믹 이후 재택 근무의 장점을 인정하면서도, 사무실에서의 협업과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 결정으로 보입니다. 당연히 직원들은 반발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익명의 직장 리뷰 사이트인 블라인드(Blind)가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아마존 직원 2585명을 대상.. 2024. 11. 8.